건축시공기술사 참고자료 31

[일반사항] 공정관리 및 공정표 작성

공정관리 1. 공정관리 정의 공정관리는 건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핵심 관리기능 중 하나로,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각종 자원(인력, 장비, 자재, 예산 등)을 적절하게 배분하고, 정해진 기간 내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작업의 순서 및 상호 관계를 체계적으로 계획, 관리, 통제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공정관리의 목적은 단순히 일정을 관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전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하는 데 있으며, 프로젝트의 설계, 인허가, 시공, 준공 등 **전 생애주기 동안 일정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모든 행위를 통합적으로 조정**하는 것입니다. --- 2. 공정관리의 필요성과 도입배경 실제 다수의 건설현장에서는 착공 초기에는 주공정표 또는 마스터플랜이 수립되..

[일반사항] 건설사업통합정보시스템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1. PMIS 정의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는 건설사업 수행 과정에서 다수의 관계자 간에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각종 문서 및 공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효율적인 공사관리를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이다. PMIS는 사업 관계자 간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업을 통해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조치이행 여부를 추적·관리할 수 있는 통합정보 기반을 제공한다. 2. PMIS 도입 배경 및 효과 ◈ 도입 배경 - 건설산업의 복잡성과 정보의 산재 - 정보 전달의 지연 또는 오류 발생 - 기록의 체계적 유지·보관 곤란으로 인한 재시공, 클레임 발생 - 발주기관의 절차서 요구..

[일반사항] 인허가 업무_착공신고, 가설건축물 축조신고, 도로점용 허가 신청, 지하수 유출 신고

착공신고◈ 신고 대상 건축법 및 주택법, 건설산업기본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허가 또는 신고를 받은 건축물에 대해 착공에 앞서 반드시 시행하여야 하는 행정 절차입니다. 일반적으로 건축허가 대상 건축물, 건축신고 대상 건축물, 사업계획승인 대상 건축물, 가설건축물 등이 해당되며, 공사를 실제로 시작하기 전 신고가 완료되어야 합니다. ◈ 신고 기한 및 방법 착공신고는 해당 건축물에 대한 허가일로부터 1년 이내에 완료하여야 하며, 정당한 사유가 있을 경우 착공기한 만료 전 1회에 한해 1년 연장이 가능합니다. 신고는 인터넷 건축행정시스템 ‘세움터’(http://www.eais.go.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접수 가능하며, 처리기한은 일반적으로 1일 이내**입니다. ◈ 착공신고 구비서류 착공신고 시 요구되는 서..

[가설 안전 시설물] 낙하물방지망, 안전난간, 개구부 덮개

낙하물방지망 (Safety Net) 낙하물방지망은 작업 중 낙하하는 자재나 도구 등이 아래 통행 근로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는 방호설비다. 설치 위치는 비계의 외측 및 건축물의 외벽이며, 수직보호망이 없는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설치 간격: 수직방향으로 매 10m 이내마다 설치, 첫 단은 가능한 낮게 설치망 규격: 가설기자재 안전인증 제품 사용, 그물코는 20mm 이하겹침폭: 인접 발망과 30cm 이상 겹침내민 길이: 벽체로부터 2m 이상 돌출, 설치각도는 수평 기준 20~30도관리사항: 3개월 이내 정기점검, 손상 시 즉시 교체, 재사용 시 성능확인 필요화기작업 주의: 망망 근처 용접작업 시 손상방지 조치 필수낙하물방지망은 고층 건물 외벽작업, 외부비계 설치구간, 자재 이양작업 ..

[가설비계] 이동식 비계, 강관틀비계, 시스템 비계

이동식 비계 (Mobile Scaffold) * 관계 법령 및 기준「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8조 KOSHA GUIDE C-28-2011 (이동식 비계 구조 기준 및 사용지침) 1. 이동식 비계의 적용 기준 및 사용사례, 용도 1) 적용 기준작업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이동이 필요한 작업에 적합바닥이 평탄하고, 전도방지를 위한 고정장치 확보가 가능한 경우최대높이: 밑변 최소폭의 4배 이하근로자가 탑승한 채로 이동 금지작업발판은 반드시 수평 유지, 브레이크 장착 필수 2) 사용 사례 실내 천장 보수 및 마감작업조명 교체, 스프링클러 설치 등쇼핑몰, 병원, 공장 내 공조/전기설비 점검전시장/무대 설치 및 해체작업 3) 용도경량 작업, 소규모 수선짧은 시간에 다수의 위치에서 반복작업이 필요한 경우실내..

[가설공사] 강관비계 및 가설계단 설치

외부 강관비계 설치 1. 강관비계의 조립기준 ※ 관계법령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9조(강관비계 조립 시의 준수사항~61조(강관의 강도식별) KOSHA GUIDE C-30-2011(강관비계 설치 및 사용안전 지침) 1) 비계용 강관 및 부속철물은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2) 지반은 비계기둥이 침하하지 않도록 충분히 다짐하고, 깔판(반침 널) 깔판(반침 널)을 평탄하게 설치3) 성토구간 또는 연약지반에는 자갈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보강4) 비계기둥 하부에는 밑받침철물과 밑동잡이를 설치5) 비계기둥은 띠장방향 1.5m~1.8m 이하, 장선방향 1.5m 이하로 설치6) 수직도를 유지하여 설치하며, 필요시 임시 가새를 설치7) 비계기둥 연결은 전용철물 사용, 연결부 동일축에 집중하중 발생하지 않..

[가설 공사] 가설용 Lift 설치 및 운영 계획

가설용 Lift1. Lift 설치 개요 가설용 Lift는 고층 건축현장에서 자재 및 인원의 수직 운반을 위한 핵심 장비이다. 특히 공정이 집중되는 골조 및 마감 시기에 양중 효율성을 확보하고, 현장 내 인력 이동 동선과 자재 흐름의 분리를 통해 안전하고 체계적인 시공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2. Lift 조립 순서 및 설치 절차 Lift는 다음 순서에 따라 설치된다:① 기초 시공 → ② 기본장치 및 방호울 설치 → ③ 운반구 + 마스트 조립 → ④ 벽체 지지대 고정 → ⑤ 케이블 가이드 설치▸ 기초 시공Lift 시방서 기준에 따른 기초판 크기 확보기초 프레임은 4개 이상 앵커볼트로 고정하고, 수평도 확보구조물 상부 설치 시 구조보강 필수경사로 필요시 손수레 이용 고려 3. 마스트(Mast) 설치 기준 ..

[가설양중장비] 타워크레인 설치 및 해체

타워크레인 설치 1. 타워크레인 반입 전 검사 타워크레인 설치 전에는 기계장비의 상태를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법적으로 의무화된 절차는 아니지만, 육안검사 및 비파괴검사(NDT)를 통해 구조부의 손상, 피로균열, 볼트 풀림 등을 사전 확인하는 것이 권장된다.이러한 사전 점검은 설치 후의 안전사고 예방과 장비 수명 연장에 기여한다. 2. 타워크레인 설치 준비 및 절차 ① 설치공간 확보• Mast 및 Jib 등의 자재 조립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대형 설치용 크레인의 진입 및 작업 반경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Stock Yard 확보가 어려운 경우, 자재 반입 일정을 분산하거나 모듈화 시공을 검토한다. ② 설치 간섭 방지• 현장에 2기 이상 타워크레인 설치 시 Mast 간의 회전반경, 높이, Braci..

[가설공사] 복공구조물 설계기준, 관리사항

1. 복공구조물 개요 1) 정의 복공(覆工)은 ‘덮을 복’과 ‘일할 공’의 의미로, 굴착한 공간을 덮기 위한 임시 구조물을 뜻한다. 복공구조물은 지하 구조물 공사 시 상부 차량 통행, 보행자 안전, 지장물 보호, 공사 공간 분리를 위해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강재(H형강, 철판), 콘크리트, 복합재료 등으로 구성된다. 2) 주요 용도지장물 보호: 도로, 상하수도, 통신선, 가스관 등 기존 인프라 보호교통 및 생활환경 유지: 공사 중 상부 도로 통행 유지굴착 안정성 확보: 무너짐 방지 및 작업 안전성 향상공간 분리 및 시공 효율화: 상층은 통행 및 작업, 하층은 굴착 및 구조물 시공 가능 3) 설계 고려사항복공판은 작업하중을 포함한 설계하중을 견뎌야 하며, 상부 하중, 시공 속도, 환기·채광, 소음·진동 저..

[가설공사] 가설 세륜시설 및 가설 울타리

가설 세륜시설1. 가설 세륜시설 설치기준 가설 세륜시설과 가설 울타리는 건설 현장의 환경 보호와 주변 민원 예방, 작업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가설 설비이다. 본 보고서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및 「소음·진동관리법 시행규칙」 등의 관계 법령에 따라, 공사 차량으로부터 발생하는 비산먼지, 토사 유출, 소음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공사장 외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세륜시설과 울타리 설치 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가설 세륜시설은 공사장 출입 차량의 바퀴에 부착된 흙, 슬러지, 먼지 등을 제거하여 외부 도로로의 오염물질 확산을 방지하는 시설이다.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58조 제4항 및 별표 14에서는 세륜시설의 설치 기준을 명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 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