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기술사 참고자료

[가설양중장비] 타워크레인 설치 및 해체

yuumfizz 2025. 6. 25. 14:13

타워크레인 설치

 

1. 타워크레인 반입 전 검사

 

타워크레인 설치 전에는 기계장비의 상태를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

법적으로 의무화된 절차는 아니지만, 육안검사 및 비파괴검사(NDT)를 통해 구조부의 손상, 피로균열, 볼트 풀림 등을 사전 확인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러한 사전 점검은 설치 후의 안전사고 예방과 장비 수명 연장에 기여한다.

 

2. 타워크레인 설치 준비 및 절차

 

설치공간 확보

Mast Jib 등의 자재 조립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대형 설치용 크레인의 진입 및 작업 반경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Stock Yard 확보가 어려운 경우, 자재 반입 일정을 분산하거나 모듈화 시공을 검토한다.

 

설치 간섭 방지

현장에 2기 이상 타워크레인 설치 시 Mast 간의 회전반경, 높이, Bracing 간섭 등을 철저히 검토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회전반경 간 최소 3m 이상의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서로 다른 높이(레벨 차)를 둔다.

물리적으로 간섭 방지가 어려운 경우, 충돌방지시스템(Anti-Collision System) 적용이 요구된다.

 

3. 설치 위치에 따른 특징

 

내부 설치

주로 코어 샤프트 내 설치되며, 건물 구조체를 Mast 기초로 활용할 수 있어 기초공사 부담이 적다.

반면, 마감공정과 간섭 발생 가능성이 높고, 해체 시 엘리베이터 샤프트나 외부 시스템을 통해 장비를 분해 및 반출해야 하므로 작업 난이도가 크다.

설치된 Mast Hole은 후속 보수 및 마감 계획이 필요하다.

 

외부 설치

야적장 및 해체공간 확보에 유리하며, 별도 콘크리트 기초(Mast Anchor) 시공이 필요하다.

건축물 구조와 간섭이 적고, 모바일 크레인을 이용한 해체가 용이하다.

다만 외부 환경에 취약하므로 풍속, 낙뢰, 자재 낙하 방지대책이 강화되어야 한다.

 

4. 설치 후 안전관리

 

안전인증 및 검사

산업안전보건법34, 시행령 제28, 시행규칙 제58조에 따라 설치 후 안전인증을 받아야 하며,

36, 시행령 제28조의 6,28조의 6, 시행규칙 제73조의 373조의 3 및 고용노동부 고시(2014-164)에 따라 6개월마다 정기 안전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전기·기상·부착물 관리

- 단독 전원회로 확보 및 별도 분전함 설치, 접지저항 측정

- 낙뢰 대비 피뢰침 설치 및 접지 연결

- 풍압 유발 가능성이 있는 광고판, 현수막, 배너 등 부착 금지

- 조명, CCTV 등 부속장치는 설치 전에 고정해야 한다.

 

 설치 사례 예시

 건물: 지하 6 ~ 지상 34, 옥탑 3,  2, 최고높이 127m

 고정위치: 1, 6, 11, 17, 22, 28, 33층의 Slab Level Mast 고정

- 슬래브 고정부위는 두께 200mm  350mm로 증설, 인접 Beam과 동일한 강성 확보

- 마감공정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외벽 쪽 Bracing 방식 적용

- 해체계획은 설치 시부터 연계 검토되어야 하며, 고정용 Anchor 제거 후 보수 방법도 설계에 반영되어야 한다.

 

타워크레인 해체

 

1. 타워크레인 해체

 

1) 해체 시기

일반적으로 골조공사 완료 이후, 옥상 기계설비 및 조경공사까지 마친 후 시행되며, 잔여 중량물의 유무에 따라 해체 시기를 조정한다.

너무 이른 해체는 자재 양중 문제, 너무 늦은 해체는 마감공정 지연의 원인이 되므로 계획이 중요하다.

 

2) 해체 방법

 

Mast Climbing Type

- 텔레스코핑(Telescoping)으로 Mast를 한 단씩 하강

- 이후 모바일 크레인으로 Jib 및 본체 분해

- 해체 반경 확보가 용이한 외부설치 구조에 적합

 

Floor Climbing Type

- 자체적으로 상승·하강 가능한 장비를 활용하여 Mast를 분해

- 소형 장비(유압 Jack, 윈치 등)Jib Mast 분해 후, 곤돌라, Hoist, Elevator 등으로 반출

- 주로 내부 설치 시 채택되며, 공간 제약 및 진동, 소음 등 고려 요소가 많다.

 

텔레스코핑(Telescoping) 작업

 

텔레스코핑(Telescoping)은 타워크레인의 마스트(Mast)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공법으로, 크레인을 건물의 공정 진행에 따라 단계적으로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망원경처럼 늘어나는(Telescope)' 원리에서 이름을 따왔다.

 

1. 정의

타워크레인의 마스트를 상부 또는 하부로 한 단씩 연장하거나 철거하는 작업으로, 유압잭(Jack-up Unit)을 이용해 기존 Mast 위에 새로운 Mast를 삽입하거나 반대로 제거하는 방식

 

2. 주요 목적

건물 골조가 높아짐에 따라 타워크레인의 높이를 따라 올리기 위해 사용, 또는 해체 시 마스트를 한 단씩 줄여가며 크레인을 낮추기 위해 사용

 

3. 적용 방식에 따른 구분

Mast Climbing Type 방식 :

타워크레인 자체가 마스트를 따라 상승/하강하며 텔레스코핑 수행

Floor Climbing Type :

건물 내부에서 슬래브와 연결된 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하며 Mast 조립

 

4. 설치 시 유의사항

풍속 10m/s 이하에서만 작업 가능

작업 중에는 회전, 트롤리 이동, 권상작업 등 금지

Mast 안착 및 볼트 체결 전까지는 절대 크레인 작동 금지

크레인 중심과 수직 균형 확보 필수

 

5. 텔레스코핑 절차

- 연장 마스트 권상

- 가이드 레일에 정확히 안착

- Mast 수평 및 수직 균형 조정

- 유압잭 상승

- 마스트 끼움(조립) 및 체결

- 반복 작업으로 Mast 상승 또는 하강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