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기술사 참고자료

[가설공사] 복공구조물 설계기준, 관리사항

yuumfizz 2025. 6. 25. 11:35

복공구조물 관련 이미지

1. 복공구조물 개요

 

1) 정의

 

복공(覆工)덮을 복일할 공의 의미로, 굴착한 공간을 덮기 위한 임시 구조물을 뜻한다. 복공구조물은 지하 구조물 공사 시 상부 차량 통행, 보행자 안전, 지장물 보호, 공사 공간 분리를 위해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강재(H형강, 철판), 콘크리트, 복합재료 등으로 구성된다.

 

2) 주요 용도

지장물 보호: 도로, 상하수도, 통신선, 가스관 등 기존 인프라 보호

교통 및 생활환경 유지: 공사 중 상부 도로 통행 유지

굴착 안정성 확보: 무너짐 방지 및 작업 안전성 향상

공간 분리 및 시공 효율화: 상층은 통행 및 작업, 하층은 굴착 및 구조물 시공 가능

 

3) 설계 고려사항

복공판은 작업하중을 포함한 설계하중을 견뎌야 하며, 상부 하중, 시공 속도, 환기·채광, 소음·진동 저감, 해체 용이성 등도 고려해야 한다.

강재 복공판 규격: 길이 2.0m × 0.75~1.0m × 높이 0.2m

미끄럼 방지 및 구조물과 흙막이 간섭 여부도 사전 검토 필요

 

2. 복공구조물의 종류

 

1) 개방형 복공 (Open Type Decking Structure)

 

구조 개요

상부는 덮고 측면은 개방된 구조

상층의 채광·통풍이 필요한 현장에 적합

보통 가설 도로나 인도 위에 설치됨

 

주요 특징

자연 환기 및 조명 확보 용이

시공이 단순하고 해체가 용이

측면 안전 난간 및 방음시설 필요

 

적용 예시

공동구, 오수관로 등 개방된 굴착공사

차량 통행 도로 상부에 적용

 

2) 밀폐형 복공 (Enclosed Type Decking Structure)

 

구조 개요

상부와 양측 측면 모두 구조물로 덮인 밀폐 구조

복공판 하부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계됨

 

주요 특징

소음·먼지·진동 차단에 유리

도심 밀집지역, 학교·병원 등 민원 민감 지역에 적합

환기설비 및 조명설비 별도 필요

 

적용 예시

도심지 철도 연장구간, 복합상업지구 내 굴착공사

상부 보행자·차량 통행 유지가 중요한 구간

 

3) 이동식 복공 (Modular/Movable Decking Structure)

 

구조 개요

모듈형으로 제작된 복공판을 조립·이동 가능하게 구성

공정의 진도에 따라 재배치 가능

주요 특징

반복적 공정에서 재활용 가능

공사 구간이 길거나 연속적인 경우 경제성 우수

연결부 설계가 중요 (이음부 단차 방지)

적용 예시

공동구 연장공사

장거리 굴착 및 순차 이동형 공사

 

4) 강재 트러스형 복공 (Steel Truss Type Decking)

 

구조 개요

복공판을 H형강 또는 트러스 구조로 구성하여 하중을 분산

고하중 장비 통과가 필요한 현장에 적합

주요 특징

높은 하중 지지력 (Pump Car, 레미콘 차량 통행 가능)

구조계산 필수, 보강재 및 브레이싱 중요

상대적으로 설치 및 해체 난도 높음

적용 예시

지하철역사 및 대형 구조물 공사

대형 장비 출입이 요구되는 지하 굴착

 

5) Deck Slab 연계형 복공 (Slab-Integrated Temporary Deck)

 

구조 개요

추후 상부 구조물로 전환될 Deck Slab를 먼저 시공하여 복공처럼 활용

구조적 연계를 고려해 시공

주요 특징

복공 해체 없이 상부 구조물 시공 전환 가능

초기 시공비는 다소 높지만 장기적으로 효율적

정확한 시공 정밀도와 콘크리트 강도 확보 필수

적용 예시

지하주차장 슬래브를 복공화해 장비 운반 및 상층 작업 동시 수행

복합건축물 지하 공사에서 자주 활용

 

3. 복공구조물 설계기준

1) 허용 활하중

 

일반 복공판 허용 활하중: 20kN/m²

중장비 진입 제한: 구조 계산상 가능하더라도, 시공 오차로 인해 **500kN 이상 장비(크레인 등)**는 진입 금지 권장

참고 하중: 크램셀·덤프트럭·펌프카 300kN / 레미콘트럭 400kN

 

2) 부재별 설계 기준

 

① 상현재 (Main Beam)

규격: H-588 ×300 ×12 ×20 또는 H-700×300×13×24

보 간격: 2m 이내

② 하현재 (Sub Beam)

규격: 2H-300 ×300 ×10 ×15

③ Beam Piece Bracket

규격: H-300 ×300 ×10 ×15 / 길이 400mm 이상

④ Post Pile (지지말뚝)

규격: H-300 ×300 ×10 ×15

설치 조건: 받침보 방향 6m 이내, 주형보 방향 5m 이내 설치, 선단부는 풍화암 이상에 지지, Cement Grouting 필요 (깊이는 별도 검토), 허용 지지력: 900kN/본 이상 확보

 

4. 복공구조물 관리사항

 

1) 설계 시 관리사항

 

흙막이 및 Strut(띠장)과의 간섭 검토

Post Pile은 H-300 ×300 시리즈 사용

구조물의 수평력, 횡변위, 진동 등 안전성 검토

습윤 시 미끄럼 방지 대책 반영

 

2) 시공 시 관리사항

 

진입 구배: 1/6 이하 유지

부재 간 접합 상태(용접 등) 점검

Post Pile 좌굴 방지 위한 Bracing 및 수평보강재 설치

 

3) 사용 시 관리사항

 

활하중 초과 차량 및 장비는 진입 금지 (구조검토 후 허용 가능)

처짐, 변위 등 이상 발생 시 주기적 관찰 및 계측 시행

 

5.  현장 적용 사례

 

사례 1) 도심지 공동구 공사 (서울 ○○)

배경: 도로 하부에 전력·통신·수도 공동구 설치공사

적용 목적: 상부 차량통행 유지 및 소음 최소화

구조 방식: 밀폐형 복공, H-700 상현재 및 Post Pile 지지, 차량 하중 고려하여 Deck Plate 두께 보강

특징: 소음방지 매트 적용, 차량 제한 높이 설치로 과하중 장비 진입 방지, 계측장비 설치하여 처짐 및 진동 모니터링

 

사례 2) 지하철 연장공사 복공구조 (부산 ○○)

배경: 도심지 전철 연장공사로 인한 지하 굴착

적용 구조: 강재 트러스형 개방형 복공, 구조계산상 25톤 덤프차량 통행 가능 설계, Post Pile 선단부 풍화암 지지 확보 (Grouting 병행)

시공포인트: 교통흐름 유지 위해 야간 시공, 진입경사 1/8로 조정, 미끄럼방지 코팅, 공사 완료 후 순차적 해체 및 복구

 

사례 3) 복합개발현장 지하주차장 굴착 (수원 ○○건물 신축공사)

용도: 지하 4층 대규모 굴착, 상부는 임시 주차장 겸 작업공간

복공 구조: 이동식 복공 구조 적용

적용 특징: 모듈형 조립식 복공 공정 간 이동 가능, 상부 차량 주차 및 콘크리트 타설 동시 가능, 슬래브 처짐 발생 감지 시 Bracing 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