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기술사 참고자료

2025년, 2026년 건축 시공기술사 시험 일정 및 전망

yuumfizz 2025. 6. 24. 16:04

✅ 건축시공기술사

건축시공기술사는 건축 분야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기술사 자격 중 하나로, 건축 시공과 관련된 고급 전문 지식과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건축 공사의 전반적인 시공 및 관리 업무를 담당할 수 있는 능력을 인증받은 전문가입니다.

✅ 2025년 기술사 시험 일정

기술사 시험은 연 3회 정기적으로 시행되며, 2025년 시험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회차 필기시험일 원서접수 기간 실기(면접) 시험일


제131회 (1차) 2025.02.22.(토) 2025.01.13.~01.16. 2025.04.19. (토) ~ 05.02.(금)
제132회 (2차) 2025.05.24.(토) 2025.04.14.~04.17. 2025.07.19. (토) ~ 08.01.(금)
제133회 (3차) 2025.08.23.(토) 2025.07.14.~07.17. 2025.10.18. (토) ~ 10.31.(금)

 


📌 현재는 3차 시험 접수(7월 14일 ~ 7월 17일)를 앞두고 있으니, 일정 놓치지 말고 준비하세요!

✅ 2026년 시험 일정 예상

2026년 기술사 시험도 예년과 마찬가지로 1차는 2월, 2차는 5월, 3차는 8월에 시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자세한 일정은 2026년 초 큐넷 홈페이지를 통해 공식 공지될 예정입니다. 일정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수시로 확인하시길 권장해 드립니다.

👉 https://www.q-net.or.kr/crf006.do?id=crf00603

✅ 응시 수수료

필기시험 : 67,800원
면접시험(실기) : 87,100원

✅ 기술사 응시 자격 요건


다음 각 항목 중 하나에 해당하면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 기사 자격 취득 후 관련 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
·  산업기사 자격 취득 후 관련 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
·  기능사 자격 취득 후 관련 분야에서 7년 이상 실무
·  관련학과 대학 졸업 후 관련 분야에서 6년 이상 실무
·  다른 기술사 자격 보유자
·  3년제 전문대 졸업 후 관련 분야 7년 이상 실무
·  2년제 전문대 졸업 후 관련 분야 8년 이상 실무
·  기사 수준 교육훈련 과정 이수 후 관련 분야 6년 이상 실무
·  산업기사 수준 교육훈련 과정 이수 후 관련 분야 8년 이상 실무
·  경력만으로 9년 이상 관련 분야 실무 종사자
·  외국의 동일 종목 기술자격 보유자


📌 실무 경력은 반드시 관련 분야(“동일 및 유사 직무 분야”)여야 하며, 이력서·경력증명서 등으로 입증할 수 있습니다.

✅건축 시공 기술사 시험 방식


1) 필기시험
- 형식 : 단답형 또는 주관식 논문형
- 문항 수 : 1교시 용어 (13문제 중 10문제 선택), 2교시 논술(6문제 중 4문제 선택), 3교시 논술(6문제 중 4문제 선택),

             4교시 논술(6문제 중 4문제 선택)
- 시험 시간 : 약 3시간 30분
- 내용 : 건축시공 일반 / 공법, 공정관리, 품질관리, 안전관리 / 관련 법규 및 사례분석 / 신공법 및 시공기술 이론
- 합격 기준 : 응시자는 전체 문제 중 주어진 문항을 충실히 서술해야 하며, 평가 기준은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득점해야 합격으로 인정됩니다.

2) 면접시험
- 형식: 구술 면접 (심사위원 3인 내외)
- 시간: 10~20분 내외
- 내용: 주로 필기시험에서 다룬 내용에 대한 심화 질문과 실무 적용 능력, 응용력, 문제 해결 능력 등을 평가합니다. 이 외에도 기술사로서의 전문 윤리와 자질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집니다.
- 합격 기준: 정량 점수보다는 정성 평가로서, 면접위원 과반수가 ‘적합’ 판정을 내릴 경우 합격으로 처리됩니다.

✅합격률


전체적인 합격률은 통상적으로 5%에서 15% 수준으로 매우 낮은 편에 속합니다. 이는 기술사 자격이 실무 능력과 전문성을 동시에 요구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현장 경험이 풍부하고 체계적인 준비를 한 수험자만이 합격에 이를 수 있습니다.

✅ 건축시공기술사 전망


1. 수요 측면
공공·민간 건설 수주 확대: 정부의 인프라 투자, 도시재생 사업, 재건축·리모델링 확대 및 지진 대응 강화 정책 등으로 공공 분야에서 큰 수요가 기대됩니다.
. 전문역량 보유 기술자 희소: 고급 실무 경험과 전문지식을 요구하는 기술사급 인력은 여전히 부족해, 숙련된 인력의 가치가 높습니다.

2. 보상·대우
. 연봉 수준: 평균적으로 8,000만 원 내외, 경력자는 1억 원 이상 연봉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잡코리아 기준 일반 건축시공 기술자는 4~5천만 원대, 기술사 자격자는 이보다 훨씬 상위권 연봉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수당 및 가점 : 현장 기술사 수당(30~40만 원 수준), 공무원 기술사 수당(약 15만 원)도 존재
. 공공기관·공무원 채용 시 자격 가산점이 부여되고, 감리업체 등록 요건이 충족되어 직무 활용도가 높습니다.

 

 3. 내부 커뮤니티 의견
. 자신감 향상: 블라인드 등의 경험담에서 “실제 취득자에게 자신감이 생긴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실제로 취득하신 분은 일에 대한 자신감이 생긴다는 걸 가장 큰 메리트로 보신다”
. 업무 인정도: 특히 현장에서는 "기술사가 말하면 듣는다"는 댓글이 있으며, 협상·관리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평이 있습니다.

 

4. 리스크 요인
. 신규 주택 시장 둔화: 가구 수 감소, 주택 보급률 포화, 금리 및 대출 규제 등으로 주택 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는 점은 장기 리스크로 꼽힙니다.
. 경쟁 심화 가능성: 일부에서는 “시공기술사는 흔한 기술사”라는 의견도 있으며, 후발자나 일반 기사 수준으로만 보면 메리트가 덜할 수 있다는 의견도 존재합니다.

5. 커리어 활용성
. 이직 및 창업 플랫폼으로 활용: 시공사 → 시행사/신탁사/공공기관 등으로의 전환이 용이하며, 이는 “상위 5개 시공사 근무자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 기술사 사무소 창업 사례도 증가 중입니다.
. 다른 기술사로 확장 가능: 안전 기술사 등 타 분야로 자격 확장이 가능하며, 복수 기술사 보유 시 전문성 및 희소성이 더욱 강화됩니다

✅ 마무리 안내

 

2025년 6월 말로, 올해 마지막 시험 접수, 2025년 제133회 3차 기술사 시험 원서접수(7월 14일~17일)가 임박한 시점입니다
응시 자격과 접수 일정 확인하셔서 빠짐없이 신청하시고, 기술사 시험을 준비 중인 모든 분이 제133회 시험에 반드시 응시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