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식 비계 (Mobile Scaffold)
* 관계 법령 및 기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8조 KOSHA GUIDE C-28-2011 (이동식 비계 구조 기준 및 사용지침)
1. 이동식 비계의 적용 기준 및 사용사례, 용도
1) 적용 기준
작업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이동이 필요한 작업에 적합
바닥이 평탄하고, 전도방지를 위한 고정장치 확보가 가능한 경우
최대높이: 밑변 최소폭의 4배 이하
근로자가 탑승한 채로 이동 금지
작업발판은 반드시 수평 유지, 브레이크 장착 필수
2) 사용 사례
실내 천장 보수 및 마감작업
조명 교체, 스프링클러 설치 등
쇼핑몰, 병원, 공장 내 공조/전기설비 점검
전시장/무대 설치 및 해체작업
3) 용도
경량 작업, 소규모 수선
짧은 시간에 다수의 위치에서 반복작업이 필요한 경우
실내 또는 평탄한 바닥의 고소작업
2. 설치기준
1) 작업발판
- 발판 폭 40cm 이상, 틈새 3cm 이하
- 2개소 이상에서 고정
2) 승강설비
- 사다리 폭 30cm 이상, 간격 40cm 이하
- 또는 경사 50° 이하, 폭 40cm 이상의 계단 설치
3) 안전설비
- 상부난간대: 높이 90~120cm
- 중간난간대: 45~60cm
- 발끝막이판: 발판 위 10cm 이상, 4면 설치
4) 기초 및 전도방지
- 아웃트리거 및 고정장치 설치
- 고무 재질, 직경 12.5cm 이상의 브레이크 장착 바퀴 사용
5) 사용표지판
- 사용허가증, 최대 활하중, 사용업체명 및 연락처 표기
6) 경사지 설치
- 잭 등을 활용해 수평 유지
7) 작업 제한
- 근로자 탑승 상태에서 이동 금지
- 작업발판 위에 말비계 설치 금지
8) 높이 제한
- 최대높이 ≤ 밑변 최소폭의 4배
- 공인검정품 사용 시 3단 이하 사용
3. 활하중 제한
기본 활하중 250kgf/m²
작업바닥 면적 2㎡ 미만일 경우: 50 + 면적(㎡) × 250kgf
작업발판의 수평 유지, 제동장치 잠금상태 유지 필수
4. 설치 높이 계산식
H ≤ 7.7L - 5.0 (m)
- H: 바닥부터 작업발판까지 높이
- L: 발바퀴 주축 간 거리
강관비계 (Tube & Coupler Scaffold)
* 관계 법령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2조
1. 강관비계의 적용 기준 및 사용사례, 용도
1) 적용기준
비정형 구조, 다양한 높이 및 형태의 구조물에 유연하게 대응
주기둥 간격: 일반적으로 1.2m~1.8m
고저차 있는 부지에서도 설치 가능
연결부(이음, 고정) 상태에 대한 구조검토 필수
20m 초과 시 버팀대, 교차가새 등 구조보강 요구됨
2) 사용사례
건축물 외벽 마감 및 도장작업
구조 보강, 보수공사
비정형 건축물의 개구부나 곡면부 작업
3) 용도
구조물이 복잡하거나 작업면이 일정하지 않은 현장
공공주택, 중소규모 건축물 외장공사
작업위치 변경이 자주 없는 지속작업
2. 설치기준
1) 기초
- 비계기둥 밑에는 밑받침 철물 설치
- 고저차 발생 시 조절형 밑받침으로 수평·수직 유지
2) 벽이음
- 수직 방향: 6m 이내
- 수평 방향: 8m 이내
3) 가새 및 수평재
- 주틀 간 교차가새 설치
-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수평재 보강
4) 주간격 조정
- 높이 20m 초과 또는 중량물 적재 시: 주간격 1.8m 이하
5) 버팀기둥
- 띠장방향 길이 4m 이하, 높이 10m 초과 시 10m마다 설치
3. 조립순서
1) 밑받침(Jack Base)
2) 수직재(주기둥)
3) 교차가새 설치
4) 수평틀 연결 및 이음핀, Arm Lock 체결
5) 작업발판 설치 및 최상부 난간 설치
4. 모서리 보강
- 모서리부는 별도 강관으로 결속
- 가새의 견고한 체결 확인
- 변형된 자재 사용 금지
시스템비계 (System Scaffold)
* 관계 법령 및 지침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5조58조, 제69조70조 KOSHA GUIDE C-32-2011
1. 강관비계의 적용 기준 및 사용사례, 용도
1) 적용기준
구조물이 정형화되어 있으며 고층 또는 반복구조일 때 적합
수직재-수평재 간 직각 결합, 안전난간 일체형으로 고정성 우수
제조사 기준에 따른 설치간격 및 하중기준 준수
평탄한 작업면 확보가 필수
2) 사용 사례
고층 아파트, 오피스텔, 복합시설의 외장공사
토목구조물(교량, 전철역 등) 박스구조체 작업
시스템동바리와 연계한 거푸집공사
3) 용도
고소작업, 대면적 작업, 고중량 작업발판 필요 현장
대규모 프로젝트, 품질 및 안전관리 중심 공사
건설안전 패키지가 적용되는 스마트건설 시범사업 현장 등
2. 설치기준
1) 구조적 설치
- 수직재-수평재 직각 설치, 흔들림 없이 견고히 고정
- 겹침길이: 받침철물 전체 길이의 1/3 이상
3) 벽연결재
- 제조사 기준에 따라 설치 간격 유지
4) 기초
- 밑받침 철물 설치
- 경사지 설치 시 피벗형 받침철물 또는 쐐기로 수평 유지
5) 전로 보호
- 가공전로 인접 시 절연방호구 설치 또는 전로 이설
6) 작업 제한
- 수직면 상하 동시작업 금지
7) 하중표기
- 작업발판에 최대하중 표지판 부착 및 근로자에게 주지
강관비계 vs 시스템비계 비교
항목 강관비계 시스템비계
항목 | 강관비계 | 시스템비계 |
장점 | 저렴한 자재, 설치 해체 용이, 다양한 구조 적용 가능 | 조립 용이, 구조적 안전성 우수, 안전설비 포함, 정형 구조물에 적합 |
단점 | 설치·해체 중 사고위험 높음, 연결부 취약, 숙련도 필요 | 고가 자재, 운반 및 조립 어려움, 협소공간 설치곤란, 구조제한 많음 |
적합현장 | 소규모, 단순 구조 현장 | 대규모, 고층 또는 박스형 구조물 공 |
종합 안전관리 및 유의사항
- 비계 설치 전 주변 고압선, 설비, 위험물 확인 및 방호조치 필수
- 작업 전 비계 상태 및 결속부 점검, 불량자재는 즉시 교체
- 비계 설치 후 최대하중, 작업 인원 제한사항 등을 표기하여 현장에 주지
- 설치 후에는 항상 고정 및 제동장치 작동상태를 확인
- 강풍 시 또는 장시간 사용 후에는 추가 점검 및 보수 필요
- 비계 작업자는 반드시 안전교육 및 사용법을 숙지해야 하며, 보호구 착용은 필수이다.
'건축시공기술사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사항] 인허가 업무_착공신고, 가설건축물 축조신고, 도로점용 허가 신청, 지하수 유출 신고 (0) | 2025.06.26 |
---|---|
[가설 안전 시설물] 낙하물방지망, 안전난간, 개구부 덮개 (0) | 2025.06.25 |
[가설공사] 강관비계 및 가설계단 설치 (1) | 2025.06.25 |
[가설 공사] 가설용 Lift 설치 및 운영 계획 (0) | 2025.06.25 |
[가설양중장비] 타워크레인 설치 및 해체 (0)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