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108회 건축시공기술사 기출문제 구성
1교시 (13문제 중 10문제 선택, 각 10점)
- Weeping Hole
- 타일공사의 줄눈나누기방법
- 배수판(Plate) 공법
- 초고층 아웃리거 시스템(Out Rigger System)
- JSP(Jumbo Special Pattern) 공법의 특성
- 콘크리트 슬래브의 거푸집 존치기간과 강도와의 관계
- 시공줄눈(Construction Joint)의 위치 및 방법
- 일일 평균기온 4℃ 이하 시 콘크리트의 양생방법
- 철골용접 전 예열(Preheat) 방법
- 콘크리트 지붕층 슬래브 방수의 바탕처리 방법
- 기초에 사용되는 파일(Pile)의 재질상 종류 및 간격
- 5D BIM(5 Dimension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요소기술
- 철골조 Column Shortening의 원인 및 대책
2교시 (6문제 중 4문제 선택, 각 25점)
- 공동주택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구조의 소음저감방안 및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철근콘크리트공사 중 콘크리트의 구조적 균열과 비구조적 균열의 주요 요인과 보수 보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원도급업체가 전문협력업체를 선정하는 방법과 관리하는 기법을 설명하시오.
- 철골조 고층건축물의 현장 철골시공 시 작업순서 및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
-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할 때 현장에서의 준비사항 및 주변 조치사항을 설명하시오.
- Slurry Wall공사에서 Guide Wall의 시공방법 및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교시 (6문제 중 4문제 선택, 각 25점)
- 제로에너지빌딩(Zero-Energy Building)의 요소기술을 패시브(Passive) 기술과 액티브 (Active) 기술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 콘크리트타설 후 경화하기 전에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수축균열(Shrinkage Crack)의 종류 및 그 각각의 원인과 대책을 설명하시오.
- 고층건축물의 인접현장에서 기초공사를 할 때 언더피닝(Under Pinning) 공법 및 시공 시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
- 철골구조물 내화피복공법의 종류 및 시공상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가설공사가 본공사의 공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시오.
- 철골공사에서 고장력볼트 접합 시 조임순서 및 조임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교시 (6문제 중 4문제 선택, 각 25점)
- 흙막이 공법 중 IPS 시스템(Innovative Prestressed Support Earth Retention System)의 공법순서 및 시공 시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
- 건축물 생애주기비용(LCC) 분석방법 중 확정적 및 확률적 분석방법의 적용 조건과 적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공동주택공사에서 세대 내 부위별 결로예방을 위한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철근콘크리트의 부위별 피복두께 기준 및 피복두께 확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철근 선조립 공법의 특징과 시공상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철골구조물 PEB(Pre-Engineering Building) System의 특징 및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출처 : 큐넷 https://www.q-net.or.kr/cst006.do?id=cst00602&gSite=Q&gId=]
2. 출제 경향 및 학습 전략
- 출제 빈도 분석 (63~108회 통계 포함)
- 4회 이상 출제된 키워드가 전체의 약 47.5% 차지
- 제108회 시험에서는 ‘4회 이상 출제된 키워드’ 항목에서 21문제가 출제됨
- 이는 빈출 주제에 대한 이해와 정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시사합니다.
- 신규 출제 문제 비중
- 93회~105회 시험 기준으로 1회 출제된 신규 문제도 약 16문제 정도 있었던 바, 언제든 시험에 ‘새로운’ 문제가 등장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학습 팁
- 출제빈도가 높은 단원부터 학습: 철근콘크리트 → 특수콘크리트 → 철골 → 초고층 등 위주로 정리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 서브노트 직접작성: 장판지(개념 흐름)와 서브노트를 다른 사람이 만든 자료를 참고하되 반드시 본인이 직접 작성할 것을 권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