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기술사 참고자료

매스콘크리트 개요 및 시공관리 방안

yuumfizz 2025. 7. 8. 12:51

매스콘크리트 관련 사진

매스콘크리트(Mass Concrete)의 개요

 

매스콘크리트(Mass Concrete)는 일반 콘크리트보다 단면 치수가 크고 부피가 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특수 콘크리트로, 콘크리트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화열로 인한 온도 상승과 온도균열(Cracking)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핵심 관리 요소이다.

 

매스콘크리트 시공관리 방안

 

건설현장에서의 일반적인 기준에 따르면, 단면 두께가 80cm 이상인 구조물 또는 단면 두께가 50cm 이상이면서 1회 타설량이 200이상인 경우 매스콘크리트로 분류된다. 이 기준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KS F 2403)및 관련 지침에 근거하며, 해당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온도관리계획, 수화열 해석, 균열방지 대책 등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1. 수화열 발생 및 온도균열의 위험

 

시멘트가 물과 반응하는 수화 과정에서 상당한 열이 발생한다.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구조물 내부는 외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냉각이 어려워,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내부와 외부 간의 온도 구배(Gradient)가 커지면, 콘크리트 내부에 인장 응력이 발생하고, 이 응력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초과하면 온도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균열 발생 가능성이 높다:

 

  • 외부 기온이 낮은 겨울철 시공
  • 단열 조치가 미흡하거나 양생이 불충분할 경우
  • 시멘트 사용량이 과다하거나 고강도 콘크리트 사용 시

 

따라서 수화열 제어는 매스콘크리트 시공에 있어 구조물의 장기적 성능 확보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2. 매스콘크리트의 적용 대상 구조물

 

매스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대형 구조물에 적용된다.

 

  • 고층건물 및 초고층 건축물의 기초매트(MAT Foundation)
  • 댐, 수문, 항만구조물 등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
  • 교량 기초 및 교각
  • 지하 공동구, 대형 지하저장고
  • LNG 저장탱크, 원자력발전소 기초 등 특수구조물

 

이러한 구조물은 하중 지지력 확보뿐 아니라, 수밀성, 내구성, 구조적 안정성장기간 유지되어야 하므로 매스콘크리트 시공 시 철저한 품질관리와 온도관리가 필요하다.

 

3. 매스콘크리트 시공관리 방안

 

3.1 배합설계 관리

 

저발열 시멘트 사용: 포틀랜드 슬래그 시멘트, 포졸란 시멘트 등 수화열이 낮은 시멘트를 사용한다.

혼화재료 활용: 플라이애시(Fly ash), 고로슬래그 미분말(GGBFS) 등을 사용하여 수화열 발생량을 저감 하고,, 장기 강도 및 내구성 향상에도 기여한다.

단위 시멘트양 최소화: 가능하면 단위 결합재량을 줄이고, -결합재비(W/B)를 최적화하여 온도 상승을 제어한다.

혼합수 및 골재 온도 조절: 배합 시 원재료 온도를 사전에 조절하여 콘크리트의 초기 온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3.2 시공 및 타설 시 고려사항

 

타설 온도 관리: 타설 시 콘크리트의 입고 온도는 가급적 25이하로 유지하고, 여름철에는 냉각수나 얼음을 사용하는 방법도 고려된다.

층별 타설 및 구획화: 대형 구조물의 경우 구획을 나누어 여러 단계에 걸쳐 타설 하면 내부 온도 상승을 완화할 수 있다.

단열재 적용: 외부 표면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내부와 외부 온도차를 완화한다.

냉각관 설치: 필요한 경우 콘크리트 내부에 냉각수 순환용 배관을 설치하여 인위적으로 온도를 제어한다.

 

3.3 양생 및 온도 관리

 

보온 양생: 콘크리트 타설 후에는 보온재를 활용하여 급격한 외부 온도 하강을 방지하고, 온도차를 서서히 줄이도록 한다.

온도측정 센서 설치: 구조물 내부와 외부에 온도계를 설치하여 수시로 온도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설계 시뮬레이션과 비교하여 조치를 취한다.

온도차 기준 유지: 콘크리트 내부와 표면 간의 온도차는 20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 기준이며, 이 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장기 양생 확보: 초기 7~14일간의 양생이 가장 중요하며, 수분 유지와 온도 완화를 병행하여 균열 발생을 최소화해야 한다.

 

4. 관련 법규 및 기술 기준

 

매스콘크리트와 관련된 기술 기준은 다음과 같다:

 

KS F 2403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콘크리트 구조물 온도균열 제어 설계·시공지침(한국콘크리트학회)

건설공사 표준시방서(국토교통부)

매스콘크리트 시공관리 매뉴얼(건설기술연구원, 일부 공공 발주기관 지침 포함)

 

이러한 기준은 공공공사 또는 대형 민간 프로젝트에서 매스콘크리트 시공 시 반드시 준수되어야 하며, 특히 설계 단계부터 수화열 해석 및 시공계획서 작성, 온도관리대장 작성 등의 사전계획이 필수적이다.

 

5. 결론

매스콘크리트는 단순한 콘크리트 구조물보다 훨씬 더 정밀한 설계, 시공, 품질관리 계획이 요구되는 고난도 기술 분야이다. 특히 수화열로 인한 온도 상승과 그로 인한 온도균열은 구조물의 장기 내구성 및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설계 단계부터 배합설계, 온도 시뮬레이션, 시공계획, 양생계획,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등을 종합적으로 수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구조물의 용도, 위치, 시공시기, 기후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시공계획 수립을 통해, 균열 없는 고품질의 구조물 구현이 가능하다. 매스콘크리트는 기술적 복잡성이 높지만, 철저한 계획과 관리가 동반된다면 장기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구조 형식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