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기술사 참고자료

커튼월 특징 및 분류, 커튼월 공사 시공

yuumfizz 2025. 7. 7. 15:23

 

커튼월 공사 관련 사진

 

커튼월 특징 및 분류

 

커튼월(Curtain Wall)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비내력 외장 시스템으로, 건축 구조체(기둥, 보 등)의 하중을 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고정되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건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고층 건물이나 상업용 대형 건축물에 사용되며, 건물 외관의 미적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단열, 차음, 방수 등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고급 외장 마감 방식입니다.

커튼월은 주로 알루미늄 프레임과 유리로 구성되며, 최근에는 복층 유리, 로이유리(LOW-E), 삼중 유리 등 고성능 유리와 함께 금속 패널, 세라믹, 석재 등 다양한 재료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커튼월 시스템은 경량화된 구조로 시공성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며, 외관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이는 데도 큰 역할을 합니다.

 

1. 커튼월의 주요 구성 요소 및 시스템 종류

1) 주요 구성요소

  • Mullion (수직재): 구조체와 커튼월을 연결하는 중심 기둥
  • Transom (수평재): 각 층별로 수평 연결되는 부재
  • Glazing (글레이징): 유리 혹은 금속 패널
  • Anchor & Bracket (고정장치): 구조체에 부착하는 장치
  • Sealant (실링재): 틈새를 메우고 기밀, 방수 처리

 

2) 커튼월 시스템의 종류

 

시스템 유형 특징
스틱 시스템 부재별로 현장에서 조립, 유연성 높음, 시공기간 길어짐
유닛 시스템 공장에서 유닛 단위로 제작, 현장 설치 빠르고 품질 우수
세미 유닛 스틱+유닛의 장점을 결합한 혼합형
패널형 커튼월 금속, 세라믹 등 외장 패널 사용, 다양한 디자인 가능

 

2. 커튼월 접합부 설계

 

커튼월의 접합부(Joint) 설계는 외부 환경(바람, , 온도 변화 등)으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고, 유리나 프레임의 팽창·수축, 진동 등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Closed Joint 방식과 Open Joint 방식은 커튼월 시공 시 대표적인 두 가지 접합부 처리 방식으로, 각각의 구조적 특징과 장단점이 다릅니다.

 

1) Closed Joint 방식

 

특징

외부 유입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목적.

실란트, 개스킷 등으로 접합부를 메움.

단순한 구조로 시공성과 원가 측면에서 유리.

 

장점

깔끔하고 심플한 외관 구현

초반 방수 성능 매우 우수

대량생산, 대형 아파트 현장에 적합

 

③ 단점

실란트 수명이 지나면 균열·누수 발생 가능

유지보수 비용 발생

 

2) Open Joint 방식

 

특징

접합부를 의도적으로 개방하여 외부 수분·공기 유입 허용

대신, 내부 챔버에서 배수·환기 기능 확보

압력 평형 원리를 이용해 내풍압 성능 확보

장점

실란트 의존도 낮아 내구성 우수

현대적인 입체 외관 연출

유지보수 부담 적음

단점

설계 및 시공 난도 높음

부품 다양, 원가 상승 요인

 

3) 접합부 설계 선택 기준

 

Closed Joint 방식은 저비용, 시공성 위주의 일반 건물에 적합하며, 실란트 유지관리가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Open Joint 방식은 고급 상업시설이나 디자인 강조 프로젝트에 많이 사용되며, 내구성과 방수 성능이 우수하지만 초기 설계가 매우 중요합니다.

 

커튼월 공사 시공

1. 커튼월 공사 절차

1) 설계 및 도면 작성

커튼월 공사는 먼저 건축 설계와 구조 설계에 따라 커튼월 시스템의 세부 설계 도면을 작성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커튼월이 견딜 수 있는 풍압, 단열 성능, 유리 사양(두께, 열전달계수 등), 프레임 사양 등이 결정되며, CAD 또는 BIM 기반으로 정밀한 도면이 제작됩니다.

 

2) 자재 제작 및 가공

설계도에 따라 알루미늄 프레임, 유리, 패널 등의 부재가 공장에서 제작됩니다. 스틱 시스템일 경우 현장에서 조립되지만, 유닛 시스템은 공장에서 유닛 단위로 조립 후 현장 반입되어 설치됩니다. 이 단계에서의 품질관리(QC)는 커튼월의 성능을 좌우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3) 현장 시공 및 설치

커튼월 부재가 현장으로 반입되면 구조체에 브래킷을 고정하고, 커튼월 유닛 또는 부재를 설치합니다. 수직재(Mullion), 수평재(Transom)를 구조체에 정밀하게 고정하고, 유리 삽입 및 실란트(Sealant) 처리를 통해 기밀성과 방수성을 확보합니다. 수직, 수평의 레벨링을 철저히 관리하여 외관 정렬이 정확하게 되도록 시공합니다.

 

4) 마감 및 품질 검사

설치 완료 후 외부 마감재를 설치하고, 커튼월 시스템의 주요 성능인 방수, 기밀, 열차단, 내풍압 성능 등을 점검합니다. 테스트 결과에 따라 필요시 보완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후 실란트 보강, 캡 마감 등 마무리 작업과 청소를 거쳐 공사가 완료됩니다.

 

2. 시공 시 주의사항

내풍압 및 구조 검토 필수: 고층 건물일수록 풍압에 의한 유리 파손 위험이 있어, 설계 단계에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방수 및 누수 방지: 커튼월은 외부 기밀이 핵심이므로, 실링 작업과 배수 설계가 중요합니다.

열팽창 및 구조 움직임 고려: 재료별 열팽창 계수를 반영한 설계가 필요하며, 슬랩과 구조체의 미세한 움직임도 흡수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정밀 시공 및 품질관리: 수직·수평 정렬 오차가 외관 전체에 영향을 미치므로, 시공 정밀도가 높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