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1. PMIS 정의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는 건설사업 수행 과정에서 다수의 관계자 간에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각종 문서 및 공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효율적인 공사관리를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이다.
PMIS는 사업 관계자 간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업을 통해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조치이행 여부를 추적·관리할 수 있는 통합정보 기반을 제공한다.
2. PMIS 도입 배경 및 효과
◈ 도입 배경
- 건설산업의 복잡성과 정보의 산재
- 정보 전달의 지연 또는 오류 발생
- 기록의 체계적 유지·보관 곤란으로 인한 재시공, 클레임 발생
- 발주기관의 절차서 요구 증가 및 프로젝트 품질관리 강화 추세
◈ 도입 효과
- 관계자 간 실시간 의사소통 체계 구축
- 공사관리의 과학화(PDCA 기반 일정·비용 통합관리)
- 정보의 집적화 및 이력관리 가능
- 자료 접근성 향상 및 업무 이중처리 방지
3. PMIS 구성요소 (3C 구조)
1) Communication (의사소통 지원)
- 웹기반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정보 교환
- 참여자 간 문서, 사진, 도면 등 다양한 포맷의 정보 공유
- 회의록 및 알림 기능을 통한 업무 명확화
2) Collaboration (협업 지원)
- 발주자, 감리, 설계자, 시공자 등 참여자 간 협업 구조 제공
- 공정관리, 검토요청/의견회신, 일정변경 등 업무 흐름 지원
- 실시간 승인/결재 시스템으로 작업효율 증대
3) Community (정보공유 지원)
- 프로젝트 참여자 간 지식 기반 공유
- 업무지시, 변경사항 등 이력기반 관리
- 준공 시점까지 누적된 모든 자료의 중앙 집중화
4. PMIS 메뉴 구성 예시
- 공정관리, 품질관리, 안전관리, 문서관리, 민원관리
- 회의체계, 인허가사항 관리, 설계변경, 예산·비용 이력관리
- 사용자별 권한 설정, 로그 추적 기능 등 포함 가능
5. 문제점 및 개선대책
1) Software : Web 기반 집중, Customizing 어려움 → Web 및 Standalone 병행 / 경량화 Version 개발
2) Data관리 : 단순 문서공유에 그침 → 가공·출력 가능한 DB화 필요
3) 연동성 : 외주, 회계, 자재시스템과 미연동 → 핵심기능 중심 연계, 최소기능 유지
4) 정보공유 : 기관 간 보안제한 → 최소정보 범위 내 공유 활성화, 정부 시스템과 연동
5) 자재조달 : 납품회사 시스템과 호환 미흡 → 기본정보 등록 기반 연계 기능 확보 필요
6. 국내 PMIS 운영 사례
1) 국토교통부 / LH – “건설사업관리 통합정보시스템(PMIS)”
적용 프로젝트: LH 공공주택지구, 행복주택, 산업단지 개발사업 등
도입 목적: CM용역사 및 감리단, 시공사, 설계사 간의 정보공유 및 일정·공정·비용 통합관리
운영 방식: Web 기반 클라우드 시스템
① 주요 기능
일정/공정 관리 (Master Schedule 등록 및 진도율 집계)
설계변경 및 물량증감 관리, 품질시험 계획·실적 등록
각종 보고서(주간/월간회의, 품질검토의견 등) 자동 생성
감리자 의견서, 설계자 회신 이력 등 전자문서 이력관리
② 성과 및 장점
공정지연 원인 파악 및 예방 가능
발주처 보고용 자료 자동 정리 → 문서작성 시간 절감
정보의 이력 기반 관리로 추적성 확보
다수 공정 참여자 간 협업 체계 구축
2) 서울시 /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 – “Smart CM System”
적용 프로젝트: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 신월여의 지하도로 건설사업 등
도입 목적: 대규모 도시기반시설 사업에 대한 공정·안전·품질 통합관리
특징: 스마트패드 현장 점검 기능과 연동
① 주요 기능
공정관리(Gantt 기반), 위험성평가/안전점검 항목 관리
BIM 기반 설계 변경사항 관리
3D 현장 촬영 및 클라우드 서버 자동 업로드 기능
실시간 민원접수 및 회신 모듈 내장
② 성과
스마트기기와 연동된 즉시성 높은 현장 관리 구현
안전사고 위험요소 사전 제거율 상승
민원 대응 기록체계 확립
3) 민간 대형 CM회사 – 무영CM, 한미글로벌 등
① 적용사례:
무영CM: 코엑스 리모델링, KTX 역사 복합개발, LH 민간참여사업 등
한미글로벌: 삼성서울병원, 판교 알파돔시티, 쿠팡 물류센터 등
② 운영 특징
자체 개발된 PMIS 시스템 또는 상용 시스템 활용
프로젝트 초기 단계부터 VE, 설계관리, 공정/품질관리, 준공 및 하자관리까지 전 단계 연계
다수의 관계자(발주처, 설계자, 감리자, 시공사) 접근 권한 차등 설정
③ 성과
준공 후 시설물 유지관리(FMS) 시스템으로 연계 가능
대형 복합 프로젝트에서의 설계-시공-감리 간 정보 연계의 효율성 확보
계약변경 및 증액 이슈 발생 시 사전자료 확보로 클레임 대응 용이
---
공사기록 및 문서관리
1. 기록관리 Flow
① 기록목록 작성 → ② 담당자 지정 → ③ 기록 작성/보관 → ④ 발주처 제출(한국시설안전공단) → ⑤ 본사 Record Center 이관 → ⑥ 보존 또는 폐기
◈ 주요 관리 대상 문서 (예시)
1) 계약 : 계약서, 계약변경 기록
2)| 인허가 : 건축허가서, 사용승인서
3) 설계 : 도면, 시방서, 구조계산서, FCR, DCN
4) 시험 : 품질시험계획서, 외주/인수검사 보고서, 공정간 검사기록
5) 기기 : 기기현황표, 검교정 대장 및 시험성적서
6) 부적합 : NCR, CAR, Crack관리대장
7) 환경·안전 : 환경점검표, 위해물질 리스트, 안전관리비 사용현황 등
---
2. 한국시설안전공단 준공도서 제출 요건
◈ 법적 근거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17조 제2항
시행규칙 제20조 및 시설물정보관리 종합시스템 운영규정(2014.05.23 개정)
◈ 제출 대상
- 1·2종 시설물 해당 건축물
- 공동주택: 16층 이상
- 문화·판매·운수·병원·종교시설 등: 연면적 5,000~30,000㎡ 이상 건축물
◈ 제출 시기
- 사용검사 승인일 전까지 완료
◈ 제출 자료
- 준공도면, 준공내역서
- 공사시방서(특기시방 포함)
- 품질보증계획서, 각종 계산서, 토질조사보고서 등
◈ 제출 방법
- 「시설물정보관리 종합시스템(FMS)」에 온라인 등록
- 공단 양식 기준에 맞추어 문서화 및 파일형태로 제출
---
※ 위 자료는 발주처, 감리자, 시공사 PM 및 품질/기록관리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정리된 것으로, 각 기관별 별도 요구사항 발생 시 이에 따른 보완이 필요할 수 있음.
'건축시공기술사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사항] 품질관리계획 및 부실벌점 관리 (0) | 2025.06.26 |
---|---|
[일반사항] 공정관리 및 공정표 작성 (0) | 2025.06.26 |
[일반사항] 인허가 업무_착공신고, 가설건축물 축조신고, 도로점용 허가 신청, 지하수 유출 신고 (0) | 2025.06.26 |
[가설 안전 시설물] 낙하물방지망, 안전난간, 개구부 덮개 (0) | 2025.06.25 |
[가설비계] 이동식 비계, 강관틀비계, 시스템 비계 (0) | 2025.06.25 |